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영화 <올빼미>는 밤에만 앞이 보이는 맹인 침술사가 세자의 죽음을 목격하면서 진실을 밝혀 나가는 하룻밤의 이야기이다. 안태진 감독은 소현세자의 미스터리한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현대적인 스릴러의 옷을 입혔다. 류준열과 유해진 두 주연배우를 비롯한 모든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는 박진감 넘치는 연출과 함께 영화의 몰입도를 높여준다. 사실감을 더해주는 화려하고 매혹적인 색채로 이루어진 완벽한 미술은 또 다른 매력으로 관객들을 사로잡는다. 이 글로 이 영화가 가진 이런 매력들의 의미를 알아보려고 한다.

     

     

    1. 역사적 사건을 현대적 스릴러로 풀어내다 

    "그날 밤, 세자가 죽었다". 영화 올빼미의 포스터에 적힌 이 슬로건은 단번에 관객들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세자의 죽음을 유일하게 목격한 사람은 맹인 침술사이다. 보이지 않는 자가 보았다고 한다. 사건의 진실을 알리려 할수록 더 많은 비밀과 정치적 음모가 드러나면서 맹인 침술사는 궁지에 몰리게 된다. 이 영화는 소현세자의 미스터리한 죽음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새로운 스토리를 입혀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은 현대적 스릴러이다. '올빼미'라는 제목에 이미 힌트가 있다. 세자의 죽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를 풀어내는 동안 겪게 될 위험과 보이지 않는 위협들이 제목에 은유적으로 새겨져 있다. 맹인 침술사인 경수가 목숨을 걸고 충격적인 진실을 파헤쳐가는 하룻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안태진 감독은 사실과 허구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한국 역사 속 가려져 있던 이야기로 관객들을 끌어들인다. 인물과 사실에는 충실하되 역사가 기록하지 않는 부분들은 영화적 상상력으로 채웠다. 사건을 파헤쳐가는 수수께끼 같은 내러티브와 박진감 넘치는 연출은 관객들에게 압도적 긴장감을 선사한다.

     

     

    2. 과거와 현실을 잇는 캐릭터, 배우들의 섬세한 연기

    영화 올빼미의 흥행 요소에는 배우들의 열연을 언급하지 않을 수가 없다. 처음으로 왕의 역을 맡은 유해진은 광기 어린 연기로 욕망에 눈이 먼 인조를 훌륭하게 표현해 냈다. 미묘한 얼굴 근육의 움직임으로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낸다. 또 다른 주인공 경수는 밤에만 눈이 보이는 이른바 주맹증을 앓고 있는 침술사이다. 평소에는 볼 수 없지만 어둠 속에서만 볼 수 있다는 설정은 영화의 긴장과 스릴을 더한다. 경수 역을 맡은 류준열은 세심한 연기로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어 관객들을 몰입하게 만든다. 한 인터뷰에서 류준열은 "본 것을 보고도 못 본 척해야 하는 것이 지금 우리 사는 세상과 닮아 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맹인인 경수라는 인물을 연기하면서 신체가 아닌 인간 자체의 핸디캡을 섬세하게 표현해 냈다. 배우들의 설득력 있는 연기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통로와 같다. 우리는 배우들을 통해 과거 그 사건 속으로 빠져들어 사건 한가운데 놓여 있는 듯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게 된다. 관객들을 공감하게 만드는 것은 배우의 힘이고 그 공감은 입소문을 통해서 흥행의 원동력이 된다.

     

     

    3. 역사의 영화적 시각화, 완벽한 미술이 만들어 내는 힘

    영화 올빼미는 맹인이 주인공인 작품이지만 시각적으로는 어느 영화보다 비주얼이 풍부하고 화려하다. <기생충>, <독전>, <관상>을 작업했던 이하준 미술감독은 특유의 미장센과 꼼꼼한 디테일로 역사적 내러티브에 몰입도를 높여준다. 세심하게 제작된 세트와 감각적인 의상, 소품들은 관객들을 과거로 데려간다. 그리고 각 장면이 만드는 매혹적인 톤과 분위기는 스릴러적 요소를 극대화시켰다. 올빼미가 가지고 있는 어둠 속에서 진실을 본다는 상징성을 인상적인 명암 대비로 시각화하였다. 홍승철 조명 감독은 어둠 속에서만 볼 수 있는 경수를 표현하기 위해 앰비언트 라이트를 주로 사용했다. 경수의 시각에 따라 앰비언트 라이트에 촛불과 횃불 등의 다른 광원을 개입시켜 색의 대비를 만들어냈다. 어둠 속에서 인물들을 표현하기 위해 형광필터를 사용하여 색감을 더했다. 홍승철 조명 감독은 사극 영화에 관습적으로 들어가는 조명 설계보다는 스릴러라는 장르적인 특성에 집중하여 작업하였다고 한다. 그의 섬세한 조명 설계는 이하준 미술감독이 만들어낸 완벽한 공간의 미술을 관객들이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게 해 주었다. 그들이 이 영화에서 만들어낸 빛과 그림자는 인간 본성의 이중성을 강조하였다. 그 분위기는 너무나 매혹적이어서 보는 관객들의 호평을 끌어냈다.

     

     

    영화 <올빼미>는 감독의 힘 있는 스토리텔링에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와 미술과 조명의 미장센이 더해져 완벽한 시너지를 낸다. 이런 예술적 협업은 작품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과거의 이야기가 마치 눈앞에서 펼쳐지는 듯 시청자들을 즐겁게 해 줄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