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화양연화

     

    왕가위 감독의 <화양연화>는 1960년대 홍콩을 배경으로 복잡하고도 미묘한 감정을 담아낸 감성적인 영화입니다. 비평가들과 관객들의 찬사를 받은 감독의 미장센과 배우들의 교감 그리고 헤어짐을 연습하는 명장면을 통해 이 영화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1. 화면으로 시를 쓰는 왕가위 감독의 미장센

    영화 화양연화의 감독 왕가위는 특유의 비선형적인 내러티브와 화려한 영상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영화에는 경계가 모호하고 연속성이 없는 시간 속에서 일련의 순간들이 나열되어 인간의 상실감과 외로움에 대한 감정이 담겨 있습니다. 영화 화양연화는 왕가위 감독의 매혹적인 미장센으로 만든 화면에 담긴 시와 같은 작품입니다. 질투 이별 고통 등 사랑과 관련된 감정들이 이 영화의 시간과 공간 속에 복잡하게 엮여있습니다. 화양연화는 1960년대 홍콩의 골목길로 관객들을 데려갑니다. 어두운 골목길과 좁은 아파트 복도는 주인공들의 감정적인 상태를 상징합니다. 이곳은 물리적으로 제약이 많은 공간으로 금지된 감정을 나누는 장소가 됩니다. 꽉 막힌 듯한 이 공간은 그들이 처한 시대적 배경과 사회적 압박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 속에서 세심하게 구성된 의상 조명 음악이 만들어내는 왕가위의 미학은 모든 장면에 의미를 더해줍니다. 클로즈업 샷으로 표현된 배우들의 미묘한 표정과 몸짓 슬로 모션의 카메라의 움직임은 뻔한 이야기를 매혹적으로 만들어냅니다. 담배 연기 속에서 느리게 흐르는 화면 속에서 구슬픈 음악의 선율 속에 인물들의 복잡하고도 미묘한 감정들이 녹아있습니다. 왕가위 감독의 미장센이 만들어 내는 화면은 시대를 초월하는 매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배우들의 아름다운 교감 그들의 화양연화

    화양연화라는 제목은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시절을 뜻합니다. 이 영화는 두 배우의 화양연화를 담고 있는 듯 합니다. 특히 리첸 역할을 맡은 장만옥은 이 영화 속에서 너무 매혹적이라 숨을 멎게 만듭니다. 그녀는 왕가위 감독이 만들어 내는 공간에 찰나의 시선 미묘한 몸짓을 더하면서 우아한 분위기 완성시킵니다. 치파오를 입은 장만옥이 화면을 채우면 이 역할은 장만옥이 아니면 대체불가능 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차우 역할을 맡은 양조위 역시 복잡하고 미묘한 감정들을 절제된 연기로 훌륭하게 표현해 냈습니다. 그는 제53회 칸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여 연기력을 인정받았습니다. 두 배우들은 사랑의 상실감과 아픔을 완벽하게 연기해 냈고 그들이 만들어 내는 감정 교감은 관객들을 몰입하게 만듭니다. 그들의 가장 반짝이는 전성기의 모습이 궁금하다면 이 영화를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3. 헤어짐을 연습하는 명장면이 주는 의미

    같은 날 같은 아파트에 이사하게 된 두 주인공은 옆집에 살게 된다. 출장이 잦은 남편을 둔 리첸과 야근이 잦은 부인을 둔 차우는 항상 외롭게 시간을 보냅니다. 그런 시간마다 그들은 좁은 아파트 복도에서 그리고 국수를 사러가는 좁은 골목길에서 서로와 마주치게 됩니다. 각자의 배우자들의 부재 속에서 그들은 같은 가방과 같은 넥타이를 통해 각자의 배우자가 외도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됩니다. 그들은 배우자들의 외도가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 상황을 연기해 봅니다. 그러면서 그들의 상실감 사이로 새로운 감정이 파고듭니다. 연기를 하던 그들은 이제 서로의 이야기를 하게 되며 서로에게 빠져들게 됩니다. 그들은 서로의 배우자에게 배신당한 사람들일까 배우자를 배신을 한 사람들일까요. 영화를 보다 보면 명확했던 관계와 감정들이 점점 모호해지는 것이 느껴집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 그들은 헤어짐을 연습을 하게 됩니다. 연습을 한다는 것은 헤어져야 한다는 것을 서로 잘 알고 있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진짜 헤어지는 것이 아니라 연습을 하는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가볍게 시작된 헤어지는 연습은 곧 울음이 터져버려서 그들의 감정이 얼마나 깊은 것인지 그래서 이별이 얼마나 고통스러운 것인지 알게 해 줍니다. 연습일 뿐인데 주인공들의 감정이 격해지고 영화일 뿐인데 관객들의 감정도 소용돌이칩니다. 왕가위 감독이 만들어 내는 그 둘의 분위기는 관객들을 압도하여 이내 영화에 동화시켜 버립니다. 그리고 이 헤어짐의 장면은 개인적 관계뿐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 영화는 1960년대 홍콩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1997년 홍콩 반환을 전후로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헤어짐을 연습하는 장면은 홍콩이 중국으로 반환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비유한 장면일 것입니다. 옛 홍콩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리첸과 차우 두 사람에 빗대어 담아 놓지 않았을까요. 홍콩의 시대적 제약과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감정들을 영화 속 등장인물로 표현해 내어 그 시절의 상실감을 관객들도 느낄 수 있게 해 줍니다.

    반응형